S2 (항성)
S2 | ||
S2의 궤도. 시계방향으로 궁수자리 A*를 돌고 있다. | ||
명칭 | ||
---|---|---|
다른 이름 | [CRG2004] 13, [GKM98] S0-2, [PGM2006] E1, [EG97] S2, [GPE2000] 0.15, [SOG2003] 1. | |
관측 정보 (역기점 J2000.0 (ICRS)) | ||
별자리 | 궁수자리 | |
적경(α) | 17h 45m 40.044s[1] | |
적위(δ) | −29° 00′ 28″[1] | |
위치천문학 | ||
거리 | 25900 ± 1400 광년[2] | |
성질 | ||
광도 | ? L☉ | |
나이 | ? | |
분광형 | B0~2V[1] | |
추가 사항 | ||
질량 | 15 M☉[3] | |
표면온도 | ? K | |
중원소 함량 (Fe/H) | ? | |
항성 목록 |
S2(Source 2) 또는 S0-2는 우리 은하 중심부에 있는 강력한 전파원 궁수자리 A*를 돌고 있는 항성이다.
설명
[편집]이 별은 1995년부터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와 막스 플랑크 외계물리학재단 두 군데에서 의문의 전파원 궁수자리 A*의 정체가 초대질량 블랙홀인지의 여부를 알아내기 위해 연구하고 있다. 그동안 누적된 자료에 따르면 A*의 정체는 블랙홀일 가능성이 크다. 2008년부로 S2는 1 공전주기를 마쳤다.[4]
상기 막스 플랑크 재단 소속 천문학자 그룹은 S2의 공전 운동을 관측하여 지구로부터 이 별이 속한 은하계 중심부까지의 거리를 측정했다. 측정값은 25884 ± 1369 광년으로 나왔으며 다른 방법으로 측정한 값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.[2][3]
이 별은 전파원을 큰 이심률을 그리면서 돌고 있는데 전파원에 가장 가까이 접근해도 17 광시(120 천문단위, 태양~해왕성 거리의 네 배) 이하로 가까워지지 않지만 전파원의 질량이 태양의 430만 배이기 때문에 공전주기는 15.56 ± 0.35년에 불과하다. 이로부터 S2가 A*와 초근접 하였을 때의 공전속도는 초당 5000 킬로미터가 나온다. 이는 빛 속도의 1.67% 수준이다. 또한 항성에 가해지는 가속도는 대략 1.5 m/s2로 지구 표면중력의 6분의 1 수준이다.[5]
S2의 움직임으로부터 궁수자리 A* 근처에 있는 다른 천체들을 잡아낼 수 있을 것이다. S2의 공전궤도 정도 크기의 공간에 눈에 보이지 않는 항성 잔해들(항성질량 블랙홀, 중성자별, 백색 왜성 등)이 퍼져 있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. 이 천체들은 S2를 흔들어 케플러 궤도로부터 서서히 벗어나게 만들 것이다.[6] 누적 관측으로 알게 된 사실 중 하나는 이들 보이지 않는 천체들의 질량을 다 합친 값이 궁수자리 A*의 1%를 넘지 않는다는 것이다.[7]
2012년 S2보다 A*를 더 가까이서 도는 S0-102가 발견되었다. S0-102의 1 공전주기는 11.5년으로 S2의 15.5년보다 좀 더 짧다. S0-102는 S2에 비해 어두웠기 때문에 배경으로부터 이 별이 뿜는 적외선 신호를 구별해내는 데 시간이 걸렸다.
사진첩
[편집]-
초대질량 블랙홀 후보 궁수자리 A* 주위를 도는 주요 항성들의 궤도. S2는 다른 별들에 비해 공전궤도가 작다.[8]
같이 보기
[편집]각주
[편집]- ↑ 가 나 다 E1 -- Star in double system, SIMBAD, 2016-04-15 확인.
- ↑ 가 나 Eisenhauer, F.; 외. (2003). “A Geometric Determination of the Distance to the Galactic Center”. 《The Astrophysical Journal》 597 (2): L121–L124. arXiv:astro-ph/0306220. Bibcode:2003ApJ...597L.121E. doi:10.1086/380188.
- ↑ 가 나 Max-Planck-Institut für extraterrestrische Physik—Infrared/Submillimeter Astronomy—Galactic Center Research Archived 2006년 9월 6일 - 웨이백 머신, R. Scho¨del 외. Nature, Vol 419, 2002-10-17, 2016-04-15 확인.
- ↑ A short documentary on Sagittarius A* - 유튜브
- ↑ Surfing a Black Hole, ESO, 2002-10-16 작성, 2016-04-15 확인.
- ↑ Sabha, Nadeen; Eckart, Andreas; Merritt, David; Mohammad Zamaninasab; Gunther Witzel; Macarena García-Marín; Behrang Jalali; Monica Valencia-S.; 외. (September 2012). “The S-Star Cluster at the Center of the Milky Way: On the nature of diffuse NIR emission in the inner tenth of a parsec”. 《Astronomy and Astrophysics》 545: A70. arXiv:1203.2625. Bibcode:2012A&A...545A..70S. doi:10.1051/0004-6361/201219203.
- ↑ Gillessen, S.; 외. (2009). “Monitoring Stellar Orbits Around the Massive Black Hole in the Galactic Center”. 《The Astrophysical Journal》 (IOP Publishing) 692 (2): 1075–1109. arXiv:0810.4674. Bibcode:2009ApJ...692.1075G. doi:10.1088/0004-637X/692/2/1075.
- ↑ Eisenhauer, F.; Genzel, R.; Alexander, T.; Abuter, R.; Paumard, T.; Ott, T.; Gilbert, A.; Gillessen, S.; Horrobin, M.; Trippe, S.; Bonnet, H.; Dumas, C.; Hubin, N.; Kaufer, A.; Kissler‐Patig, M.; Monnet, G.; Strobele, S.; Szeifert, T.; Eckart, A.; Schodel, R.; Zucker, S. (2005). “SINFONI in the Galactic Center: Young Stars and Infrared Flares in the Central Light‐Month”. 《The Astrophysical Journal》 628: 246. arXiv:astro-ph/0502129. Bibcode:2005ApJ...628..246E. doi:10.1086/430667.
외부 링크
[편집]- (영어) "Star Orbiting Massive Milky Way Centre Approaches to within 17 Light-Hours", ESO 언론발표 기사(2002년 10월 16일).
- (영어) Stars Orbiting around the Black Hole at the Center of the Milky Way - 유튜브[1]
- (영어) SIMBAD 자료
- (영어) UCLA Galactic Center Group animations Archived 2018년 9월 3일 - 웨이백 머신, 궁수자리 A* 주변 항성들의 모습을 3D 애니메이션으로 보여준다.